모짜르트/^^Dear Amadeus 기악곡

현악 4중주 & 2개의 혼을 위한 디베르티멘토 K. 522 '음악적 농담' - 네빌 마리너 지휘

로만짜 2012. 6. 8. 20:30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W. A. Mozart (1756~1791)
Divertimento for String Quartet & 2 Horns F major,
K. 522 "Ein musikalischer Spass" [A musical joke]

 

 

x-text/html; charset=iso-8859-1" EnableContextMenu="" autostart="false" loop="true" volume="0" showstatusbar="0" showpositioncontrols="0">  1. Allegro (04'48")

 

x-text/html; charset=iso-8859-1" EnableContextMenu="" autostart="false" loop="true" volume="0" showstatusbar="0" showpositioncontrols="0">  2. Menuetto: Maestoso (06'12")

 

x-text/html; charset=iso-8859-1" EnableContextMenu="" autostart="0" loop="true" volume="0" showstatusbar="0" showpositioncontrols="0">  3. Adagio  cantabile (06'12") 

 

x-text/html; charset=iso-8859-1" showpositioncontrols="0" showstatusbar="0" volume="0" loop="true" autostart="0" EnableContextMenu="">  4. Presto (04'08")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Sir Neville Marriner
             Academy of St. Martin in the fields

 

  

 

음악적 농담(Ein Musikalischer Spass)은 모차르트가 1787년 6월 14일에 출판한,
두 개의 호른과 현악을 위한 디베르티멘토 K.522에 붙인 제목으로

의도적으로 우스꽝스럽게 쓰인 곡이며 당대의 어설픈 음악가들의 
음악을 풍자하기 위해서 쓰인 곡 이라는 설이 있다.

고전 시대의 다른 디베르티멘토와 그 구성이 같지만

당시의 청중에게 이 작품이 웃길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.

곡의 처음에 비대칭적인 구절법을 썼다는 점 -
모짜르트의 시대에는 4마디로 된 악구가 일반적이고

그 외의 것은 리듬적인 긴장을 주기 위해서만 쓰였다.

버금딸림화음을 써도 되는 곳에 부속 7화음을 남용한 점 -

고전 시대에는 조바꿈 할 때처럼 특수한 상황에만 부속 7화음이 쓰였다.
프렌치 호른의 트릴을 사용한 점 -
프렌치 호른의 트릴은 기술적으로 어려우며, 특히 이 곡에서처럼 낮은 음에서
이루어졌을 때에는 우스꽝스러운 소리밖에 나지 않는다.

호른의 불협화음을 쓴 점 - 조옮김에 서툰 작곡자나 모르고 
엉뚱한 조의 호른을 집어서 연주하는 연주자를 나타낸다.

바이올린의 고음에서 온음음계를 사용하여

고음 운지법에 서툰 것처럼 보이게 한 점.

 이 곡은 또한 복조를 쓴 지금까지 알려진 최초의 것인데,

마지막 악장의 종지화음에서 안 어울리는 화음을 나타내기 위해서 의도한 것이다.

어떤 이론가들은 이 곡이 당대의 서툰 작곡가와 어설픈 연주자를 풍자하기 위해서
쓰였다고 주장한다. 실제로 이 작품을 서툰 작곡가가 썼다는 것을 전제하고 곡을 분석한
다면 재밌는 요소를 찾을 수 있다. 특히 동기의 발전이 상투적으로밖에 이루어지지
않았다는 점에서는 곡을 진행시켜야만 한다는 작곡가의 고심이 보이는 것이다.

한편으로는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 쓰인 곡이라는 설도 있다.

음악의 농담이 출판된지 두 달이 지나 모짜르트는
 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를 발표하였으며

이 곡은 지금까지도 그의 가장 아름다운 곡 중의 하나로 불리고 있다